📅 June 18–21, 2025 / 제주 해비치 호텔&리조트
저희 연구실은 지난 6월, 제주 해비치 호텔에서 개최된 2025 한국경영과학회, 대한산업공학회, 한국시뮬레이션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에 참석하였습니다. 세 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만큼, 다양한 주제의 구두 및 포스터 발표가 진행되어 재밌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SK하이닉스 안대웅 부사장님의 기조강연과 산업체 특별세션 등도 함께 열려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저희 연구실의 구성원 김용민, 김가은, 김세원, 권예진, 신범교, 유종현, 오영제, 윤재연, 김지원, 이호연, 정자훈, 양유준 연구원이 각각의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각자의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세션에서 발표를 진행하며, 연구자들과의 질의응답과 토론도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 학회 발표 및 세션 일정
[6/ 18] 제주 도착 및 발표
학회 첫 날 부터 6명의 연구원의 발표가 있기에, 발표가 있는 연구원 먼저 제주도로 출발하였습니다. 제주 도착 후 돔베고기국수를 맛있게 먹은 뒤 학회가 열리는 제주 해비지 호텔에 도착하였습니다. 연구실 소속 연구원 김용민, 김가은, 김세원, 권예진, 신범교, 유종현 6명이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첫 세션은 13:00시에 시작되어, 헬스케어시스템세션에서는 김가은 연구원이 "심초음파 특화된 비전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로 발표하였으며, 산업인공지능세션에서는 김용민 연구원이 "실제 산업 환경을 위한 테스트 타임 어뎁테이션 기반 결함 진단 모델"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두 번째 세션은 저희 윤현수 교수님께서 좌장으로 참여하신 헬스케어시스템세션에서, 김세원 연구원이 "심초음파 영상에서의 비지도 이상탐지를 위한 Trajectory-Conditioned Diffusion 프레임워크"를 주제로 발표하였고, 이어서 신범교 연구원이 "SAM-Driven Uncertainty Quantification in Echocardiography"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동시간대에 산업인공지능세션에서는 권예진 연구원이 "LogicQA: Looks normal? Let's ask a few questions and catch the logical anomaly"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세 번째 세션은 산업인공지능에서 유종현 연구원이 "Apartment Price Forecasting LLM-Based emantic Analysis of User Reviews Combined with Tabular Features"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발표가 끝난 연구원들은 자유롭게 듣고 싶은 발표 세션을 각자 알아서 들은 뒤 서로 들었던 내용들을 공유하며 즐거운 식사 자리를 가졌습니다. 발표가 끝나서 수고했단 의미와 제주도의 맛있는 음식을 사주고싶으신 교수님의 마음덕에, 갈치조림과 보쌈을 맛있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 식사 후에는 연구원들끼리 산책을 하며 제주를 즐겼습니다.
[6/ 19] 다른 연구원들의 제주 도착 및 발표
학회 둘째 날은 우리 연구실 소속 연구원의 발표와 다른 재미있는 주제들의 구두 발표, 기조 강연 등을 듣기 위해 우리 연구실 모두가 제주로 모였습니다.
11:00에는 산업인공지능세션에서 오영제 연구원이 "다변량 시계열 분류를 위한 대조학습 기반의 해석가능성 표현 학습 프레임워크"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14:00에는 SK 하이닉스 안대웅 부사장님의 기조강연이 진행되었고 "반도체 제조에서의 AI 활용"이라는 주제로 재밌게 들었습니다.
14:30에는 기업특별세션인 "LG_CNS 세션에서 윤재연 연구원이 HR AI Agent 서비스를 통한 프로젝트 인원 매칭 적용 사례와 성과 분석"을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발표가 끝난 연구원들은 자유롭게 듣고 싶은 발표 세션을 각자 알아서 들은 뒤 서로 들었던 내용들을 공유하며 즐거운 식사 자리를 가졌습니다. 오늘은 제주도에서 가장 유명한 흑돼지를 맛나게 먹었습니다. 끝나고 바다 산책도 잊지 않았습니다ㅎㅎ.
[6/ 20] 발표
학회 셋째 날은 우리 연구실 소속 연구원의 발표가 또 예정되어있기에 다함께 학회장으로 떠났습니다.
첫 세션은 13:00시에 시작되어, 산업인공지능세션에서 김지원 연구원이 "대형 비전-언어모델의 환각 완화를 위한 양방향 대조 최적화"를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이어서 정자훈 연구원이 "Graph 기반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 Learning과 Saliency-aware Pooling을 활용한 다변량 시계열 분류 방법"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호연 연구원이 "미지 작업 조건에서의 강건한 고장 진단을 위한 도메인 일반화 프레임워크"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세 번째 세션은 산업인공지능에서 양유준 연구원이 "산업 현장 이미지의 다양한 왜곡 환경을 고려한 실시간 도메인 적응 기반 이상 탐지"를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